1. 기사 내용
(출처 : https://byline.network/2022/02/28-198/?ct=t(RSS_EMAIL_CAMPAIGN)&mc_cid=d0a26249cf&mc_eid=48e3d43ea4)
화웨이 “친환경 발전에 대한 5가지 오해 있다...ICT산업 역할 필요” - Byline Network
“친환경 발전은 유행어(buzzword)이다. ICT 산업의 친환경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생긴 오해를 빨리 극복해야 한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8일(현지시간) 개막하는 MWC2022를 하루 앞두고 화웨
byline.network
누가 | 화웨이 캐리어 최고마케팅책임인 필립 송(Philip Song) 박사가 |
언제 | 28일에 개막하는 MWC2022를 하루 앞두고 |
어디서 | 화웨이가 '미래를 밝히다(Lighting up the Futre)'라는 주제로 개최한 '데이(Day)0' 포럼에서 |
무엇을 | 친환경 발전에 대한 다섯 가지 오해를 |
어떻게 | 설명했다 |
왜 | ICT 산업의 친환경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
[ 친환경 발전에 대한 다섯 가지 오해 ]
- ICT 산업이 탄소 배출량을 증가시킨다.
- 네트워크 장비 탄소 배출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공급망 배출에 과도하게 치중하고 있다.
- 친환경 발전이 그린에너지에 대한 것에 불과하다.
- 네트워크 에너지 효율이 통신 장비의 총 에너지 효율과 같다.
- 에너지 절약이 네트워크 성능 지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 ICT 산업의 친환경 발전을 위한 5가지 제언 ]
- 다른 산업군에서 친환경 발전이 가능하도록 ICT 산업을 더욱 발전시켜야
- 제조 과정 보다는 사용 중 발생하는 ICT 인프라의 탄소배출에 더욱 신경 써야
- '그린 사이트, 그린 네트워크, 그린 운영'의 체계적인 솔루션은 통신사가 네트워크 용량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전력 소비량을 줄여 '더 많은 비트, 더 적은 와트'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것임
- 에너지 소비의 주요 문제점 파악을 위해 통일된 에너지 효율 지표 체계를 구축해야
- 에너지는 사용자 경험에 따라 결정됨
2. 주요 소재와 기술 동향
[ 탄소중립 ]
-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 기후위기에 대응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205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이자 의지를 담은 개념이다.
현상 | 현상의 원인 | 원인 해결 | 현상 해결 |
기후변화 심각성 인식 확대 | 기후 위기로 전염병 확산 촉진(*) |
글로벌 탄소중립 지향 | 기후변화 위기 극복 |
(*)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은 기후 위기의 영향을 받는다. 기온 상승과 그에 따른 기후 위기는 병원균의 전파와 변형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19와 기후위기 모두 지나친 소비주의와 성장주의로 인한 결과라는 공통점이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온실가스를 내뿜던 경제 활동을 잠시 멈추자, 맑은 공기와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이 돌아왔다. 이는 인간 활동이 얼마나 생태계와 기후에 거대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반증한다. 따라서 코로나19 이후의 사회에서는 개발과 소비주의를 멈추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사회로 전환을 시작해야 한다. (출처 : http://kfem.or.kr/?p=206769)
#에너지진짜뉴스 – 코로나19와 기후위기가 관련이 있다고요?
#에너지진짜뉴스 – 코로나19와 기후위기가 관련이 있다고요? Q. 코로나19와 기후위기가 관련이 있다고요? A. YES!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은 기후위기의 영향을 받습니다. 기온 상승과 그에
kfem.or.kr
[ 글로벌 탄소중립 지향 ]
- 새로운 경제질서 형성
-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규제 강화 및 경영 활동 변화 -> 글로벌 경제질서 변화
- (주요국 및 국제기구) EU와 미국의 탄소국경세 도입 논의 본격화, EU의 자동차 배출규제 상향, 플라스틱세 신설 등 환경규제 강화
- (민간부문) 글로벌 기업 및 금융사의 RE100 참여(*) 및 ESG 투자 확대(**), 환경 비친화적 기업 투자 제한 등 환경 고려한 경영 활동 확산
- (*) 기업 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자발적 캠페인
- (**) 전세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 규모 ('14)18조->('16)23조->('18)30조
-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규제 강화 및 경영 활동 변화 -> 글로벌 경제질서 변화
- 새로운 시장 창출
- 친환경 시장 성장 -> 주요국은 신시장 선점 위해 투자 확대
- (친환경 에너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산업 발전 및 수소 가치 부각, 이차전지 시장(전기차 확대) 급성장 전망
- (주요국 투자) 탄소중립 선언 전후 주요국은 대규모 그린 투자를 발표
- 친환경 시장 성장 -> 주요국은 신시장 선점 위해 투자 확대
[ ESG ]
- ESG는 2022년 ICT 10대 이슈 중 하나이기도 하다.
- ESG는 환경, 사회, 기업 지배구조(Environmental, Social and Coporate governance, ESG)를 뜻하며, 기업이나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이다.
- 즉, ESG 투자는 투자 결정 과정에서 재무적 요소와 더불어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고려하는 투자를 말한다.
- 기업들은 경쟁적으로 ESG 투자에 나서고 있고 이 ESG를 실현할 도구로 디지털이 지목되었다.
- 특히 환경 분야에서 최근 가장 많이 거론되는 부분이 탄소중립이고, 이 대안은 디지털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 데이터 기반 디지털 ESG 사례 ]
- Saipem (EPC 기업)
- 탄소배출 절감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에서 탄소배출량 예측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축했다.
- 그 결과 탄소배출 절감목표를 초과달성하여 IMCA(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ward)를 수여 받았다.
- 스타벅스
- 커피농장의 아동 노동, 강제 노동 등 인권 및 노동권 침해가 발생한 농장의 커피 사용이 이슈화 되는 상황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커피 생산정보 및 유통 이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 그 결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세계 38만 커피농장의 생산, 제조공장, 물류센터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소비자의 윤리적 구매를 실현했다. 또한 농장주에게는 가격과 유통의 투명성을 제공해 생산량과 품질 향상에 기여했다.
3. 나의 생각
ESG를 실현할 도구로써 디지털이 적극적으로 사용된다면,
강점 | 조직이 잘하는 것은 무엇인가? 조직의 특별한 점은 무엇인가? 타깃 잠재고객이 우리 조직에서 좋아하는 점은 무엇인가? ex) 고객서비스: 우리의 고객 서비스는 nps 점수 90점을 기록하며 경쟁 업체와 비교해여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한다. ESC 데이터 기반 디지털 ESG 경영환경 구축 : 기업활동 전반의 데이터와 시스템을 ESG관점으로 Value Chain 및 이해관계자 별 데이터로 구조화하고 통합 및 재구성한다면, 선 순환 경영환경 체계(*)를 확보하고 ESG 이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혁신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 (*) [전략수립] 사업전략 및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ESG 전략/활동계획 수립 -> [정보관리] ESG 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정량/정성 정보의 신뢰성, 적시성, 일관성 확보 -> [리스크관리] 기업의 ESG 데이터 기반 리스크 모니터링/대응 -> [평가/공시관리] ESG 평가 및 공시를 위한 기준/기관/방법 결정 |
약점 | 기대치를 밑돌고 있는 내부 이니셔티브를 나타낸다. 성공과 실패의 기준선을 만들기 위해 강점을 분석한 뒤 약점을 분석하는 것이 좋다. 내부 약점을 파악하면 실적이 부진한 프로젝트를 개선하기 위한 시작점을 마련할 수 있다. 기대에 못 미치는 이니셔티브는 무엇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개선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리소스는 무엇인가? ex) 전자 상거래 가시성: 마케팅 예산 부족으로 인해 웹사이트의 가시성이 낮으며, 모바일 앱 거래가 계속 줄어들고 있다. |
기회 |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는 무엇인가? 우리 서비스에서 시장 격차가 있는가? 올해 우리의 목표는 무엇인가? ex) 마케팅 캠페인: 전자 상거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youtube, facebook, instagram에서 광고 캠페인을 실행할 것이다. |
위협 | 위협은 외부 요인이며, 대체로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약점과는 다르다. 위협에는 전 세계적 팬데믹부터 경쟁 상황의 변화까지 다양한 요인이 포함된다. 업계에서 어떤 변화가 우려되는가? 떠오르는 새로운 시장 트렌드는 무엇인가? 경쟁사들이 우리보다 뛰어난 점은 무엇인가? ex) 새로운 경쟁자: 새로운 전자 상거래 경쟁 업체가 다음 달 안에 론칭할 예정이기 때문에 고객의 수가 줄어들 수도 있다. |
'~2023.02 >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0) | 2022.02.26 |
---|---|
클라우드(Cloud) 서비스란? (0) | 2022.02.21 |
Web 3.0 이란? (0) | 2022.02.20 |
RPA(업무 자동화)란? (0) | 2022.02.14 |
블록체인이란? (0) | 2022.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