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oniiverse
개발 블로그
yooniivers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운영체제
    • 네트워크
    • ~2023.02
      • 외부교육
      • 대외활동
      • 스터디
      • 동아리
      • TIL
      • IT지식
      • 기타
      • 트러블 슈팅
      • 프로그래밍
      • Python
      • Java
      • JS
      • DB(SQL)
      • JSP
      • Spring
      • 기술면접
      • 자바
      • 코딩테스트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백준 문제풀이
      • 인공지능
      • 머신러닝
      • 프로젝트
      • 안드로이드 앱개발
      • 웹개발
      • 웹 서비스
      • 웹퍼블리싱
      • Node.js 백엔드 개발
      • CS
      • 1일 1CS지식
      • 운영체제
      • 네트워크
      • 데이터베이스
      • 정보처리기사
      • 도서 리뷰
      • 개발 관련 도서
      • 기타 도서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yooniiverse

개발 블로그

~2023.02/IT지식

클라우드(Cloud) 서비스란?

2022. 2. 21. 14:37

1) 클라우드란?


  • 클라우드 : 데이터 파일을 컴퓨터 내부가 아닌 인터넷을 통한 중앙 컴퓨터 공간(클라우드, Cloud)에 저장하는 기술
    • 1990년대 구글, 네이버와 같은 인터넷 기업이 방대한 사용자 접속을 유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처음 사용된 개념
    • 마치 여러 장소에서 똑같은 구름을 관찰할 수 있는 것처럼,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를 활용하든 불러올 수 있다는 장점이 큰 화제가 됨

 

 

2) 클라우드의 종류


  • 퍼블릭 클라우드
    • 누구나 제약 없이 접근 가능
    • ex) 아마존 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등
  • 프라이빗 클라우드
    • 데이터 서비스에 허용된 사용자만 접근 가능
    • ex) 정부 전용으로 구축한 G-클라우드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 + 프라이빗 클라우드
    • 외부에서 자주 접근하고 덜 민감한 정보는 퍼블릭 클라우드에, 중요하고 민감한 데이터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해 보안성을 높인 형태
  • 멀티 클라우드
    • 서로 다른 벤더사의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
    •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의존도를 낮춤
    • 각 클라우드의 강점을 골라 활용할 수 있음

 

 

3) 클라우드 vs. 파스타


'클라우드' 제작 준비물 '파스타' 조리 준비물
전산실 주방
인프라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
주방 기구
(가스레인지, 오븐)
플랫폼
(클라우드 운영체제, 미들웨어)
식자재
(면, 오일, 마늘)
서비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완성된 파스타를
담을 그릇
'클라우드' 제작 방식
'파스타' 조리 방식
On-Premise 집에 주방과 주방 기구를 설치하고
식재료까지 모두 직접 준비해 파스타를 요리하는 형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주방 기구가 세팅되어 있는 공유 주방에서
식자재와 그릇만 준비해 파스타를 만드는 것
PaaS(Platform as a Service) 식자재부터 조리법까지 모두 제공되는 파스타 밀키트
집에서 레시피를 따라 만든 후 그릇에 담아 먹으면 됨
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든 과정을 전문 셰프(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게 맡김
레스토랑에 가서 주문만 하면 끝
기존 클라우드 기술 도입 후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On-Premise)해서 운영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빌려 쓰고(SaaS)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
대규모 전산실 서버를 구축해야 한다는 부담 자체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구입하는 것 대비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

 

 

4) 클라우드 4가지 특징


  • 접속 용이성
    • 인터넷만 가능하다면 시간, 공간, 기기의 제약 없이 어디서나 클라우드에 접속 가능
  • 유연성
    • 가상 기술인 클라우드는 물리적 환경에 비해 확장, 축소가 용이하고 성능도 쉽게 조절 가능
      • ex) 화상 회의 프로그램 Zoom
        • 거리 두기 일상화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클라우드 기반 프로그램 덕에 쉽게 서비스 규모를 키워냄
  • 셀프 서비스
    • 별도의 협업/승인 절차 없이 사용자 스스로 클라우드 관리 화면을 통해 시스템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구성
  • 사용량 기반 과금제
    •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그 양만큼 비용을 지불
    • 초기 투자 비용 및 기업의 투자 위험 부담 줄일 수 있음

 

 

5) 보안 강화


  • 클라우드가 널리 사용되면서, 보호해야 할 인터넷 기기와 데이터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점점 더 똑똑해지는 해커의 계정 도용, 서버 해킹, 악성코드 살포 등 위험도 증가
  • 이에따라 클라우드의 보안도 점점 강력해지고 있음
  • 데이터를 보호하는 보안 기술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자!

 

 

 

 

출처 : 맛있는 IT 뉴스레터, Yumm-IT

'~2023.02 >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발전, ICT산업의 역할 필요  (0) 2022.03.03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0) 2022.02.26
Web 3.0 이란?  (0) 2022.02.20
RPA(업무 자동화)란?  (0) 2022.02.14
블록체인이란?  (0) 2022.02.12
    '~2023.02/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친환경 발전, ICT산업의 역할 필요
    •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 Web 3.0 이란?
    • RPA(업무 자동화)란?
    yooniiverse
    yooniiverse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