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1일 1CS지식

    URL과 URI의 차이는 무엇인가?

    URI란? URI란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지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의미한다.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혹은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이다. URL이란? URL는 흔히 웹 주소라고도 하며,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URI의 서브셋이기도 하다. URI와 URL의 차이점은? URI는 식별하고, URL은 위치를 가르킨다! https://www.charlezz.com/index.html URI : O URL : O https://www.charlezz.com/index URI : O URL : X 두 주소는 모두 index.html을 가리키고 있다. 첫번째 주소는 웹 서버의 실제 파일 위치를 나타내..

    데이터베이스 함수 종속 중 완전 함수 종속, 부분 함수 종속, 이행적 함수 종속이란?

    데이터베이스 함수 종속? 함수 종속성이란 테이블의 속성 A, B에 대해 A값에 의해 B값이 유일하게 정해지는 관계를 말한다. 이때 "B는 A에 함수 종속이다."라고 하며, A -> B라는 기호로 나타낸다. 여기서 A를 결정자라고 하고, B를 종속자라고 한다. 함수 종속성은 크게 완전 함수 종속과 부분 함수 종속, 이행적 함수 종속으로 나뉜다. 완전 함수 종속 기본키를 구성하는 모든 속성에 종속되는 경우 부분 함수 종속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의 일부에 종속되거나, 기본키가 아닌 다른 속성에 종속되는 경우 이행적 함수 종속 A, B, C 세 속성이 있고 A->B, B->C 종속 관계가 있을 때, A->C가 성립하는 경우 출처:: https://rebro.kr/159 [Normalization/정규화] 함수 ..

    [운영체제]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란?

    가상 메모리? 메인 메모리(RAM)의 크기가 작아서 모든 정보를 담기에 부족한 경우, 하드디스크까지 메인 메모리(RAM)을 확장해서 사용하는 것을 큰 틀에서의 가상 메모리 기법이라고 한다. 가상 메모리는 메모리가 실제 메모리보다 많아 보이게 하는 기술로, 어떤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메모리에 해당 프로세스 전체가 올라가지 않더라도 실행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해 고안되었다. 출처:: [week06] 가상 메모리란? Virtual Memory :: D cron (tistory.com) https://ahnanne.tistory.com/15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는?

    라우터(Router)란? 목적지로 가는 적합한 경로를 찾아주는 라우팅 기능을 하는 것 네트워크 간의 경로(Route)를 설정하고 가장 빠른 길로 트래픽을 이끌어주는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란? 목적지로 출발한 데이터를 중가에 적합한 경로로 스위칭해주는 역할은 하는 것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 네트워크 장치인 라우터와 스위치는 모두 네트워킹 연결장치이다.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가장 빠른 경로를 정하기 위해 라우터가 사용된다. 라우터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동시에 연결하는 것이며,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한다. 반면, 스위치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동시에 연결하는 것이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작동한다. 출처:: 스위치, 라우터의 차이 (velog.io) https://puzzle-puz..

    RAM과 ROM의 차이는?

    RAM이란? Random Access Memory 휘발성 메모리 -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가 사라짐 ROM이란? Read Only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 -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음 RAM의 역할? CPU에 비해 하드디스크는 너무 느리다. 하드디스크보다 빠른 메모리를 CPU와 하드디스크 사이에 위치 자주 쓰는 데이터는 RAM에 위치시켜 CPU에서 고속으로 처리 가능 ROM의 역할? ROM에는 컴퓨터를 켰을 때 처음으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인 BIOS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처:: RAM(램)과 ROM(롬)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tistory.com)

    데이터베이스에서 savepoint와 truncate이란?

    롤백이란? 변경된 데이터를 테이블에 영구적으로 저장하기위해 commit을 해줘야 하는데, 이 commit 작업 전에 실행되어 변경 사항을 취소하는 것 savepoint 롤백 시 트랜잭션에 포함된 전체 작업을 롤백하는 것이 아니라 현 시점에서 savepoint까지 트랜잭션의 일부만 롤백할 수 있음 따라서 복잡한 대규모 트랜잭션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 savepoint까지의 트랜잭션만 롤백하고 실패한 부분에 대해서만 다시 실행할 수 있게 됨 truncate 테이블의 데이터를 전부 삭제하고 사용하고 있던 공간을 반납하는 것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지만 테이블 자체가 지워지지는 않음 이때 해당 테이블에 생성되어 있던 인덱스도 함께 truncate 된다. delete 데이터만 지워지고 사용하던 디스크..

    운영체제의 정의와 필요한 이유, 역할은 무엇인가?

    운영체제란?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가 필요한 이유?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빠르고 정확하게 시스템 자원을 제공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주기 위해 필요 운영체제의 역할? 1.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생성, 제거, 중지, 재시작, 동기화 프로세스간 통신 교착상태 방지 기법 등 제공 2. 기억장치 관리 주기억장치 이용 프로세스 파악 주기억장치에 프로세스를 적제하거나 회수 3. 입출력장치 관리 입출력장치의 상태 파악 입출력장치 스케쥴링 4. 정보 관리 파일 생성 및 제거 파일과 디렉토리 관리 출처:: 고퍼 :: 운영체제(OS)란? (tistory.com)

    커널(kernel)의 종류는?

    커널이란?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으로서, 운영 체제의 다른 부분과 응용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커널의 역할 보안 커널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프로세스의 보안을 책임진다. 자원 관리 한정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프로그램 실행을 원활하게 한다. (특히 프로세스에 처리기를 할당하는 것을 스케줄링이라고 한다.) 추상화 운영 체제의 복잡한 내부를 감추고 깔끔하고 일관성 있는 인터페이스를 하드웨어에 제공하기 위해 몇 가지 하드웨어 추상화들로 구현된다. 이 하드웨어 추상화는 프로그래머가 여러 장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돕는다. 커널의 종류 단일형 커널 - 커널의 다양한 서비스 및 높은 수준의 하드웨어 추상화를 하나의 덩어리(주소 공간)로 묶은 것 - 운영 체제 ..

    회선교환방식과 패킷교환방식의 차이는?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방식이란? 회선교환방식은 회선 독점을 통한 통신방식이다. 회선교환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전용선 할당"인데, 예를 들어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고 하면, 전송을 위한 전용선을 할당하고 해당 선로로 모든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송수신을 연결하는 전용선을 설정하고 전송을 하는 게 핵심이다. 회선교환의 특징은? 회선교환은 통신 회선을 설정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회선교환방식은 음성 전화 시스템에 사용된다. 송신자의 모든 데이터는 동일한 경로로 전송된다.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중 중간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연결이 끊어진다. (새로운 경로를 통한 새로운 회선 할당이 필요하다.) 장점 - 대용량과 고속 데이터 처리에 우수하다. - 고정적인 대역폭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