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정보처리기사

Java 자료형, Python 자료형
1. Java 자료형 ArrayList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 리스트 성질을 가진 클래스이다. 인덱스를 통해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순서가 중요하다. LinkedList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가 이전 노드와 다음 노드의 상태를 알고 있는 링크드 리스트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이다. HashSet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Set)의 성질을 가진 클래스이다. 따라서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 HashMap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이다. [ArrayList] 선언 List a = new ArrayList(); ArrayList a = new ArrayList(); 메서드 add(값) add(인덱스, 값) remove(인덱스) [HashSet] 선..
변수와 배열
1. 데이터 타입 프로그래밍 안에서 실수형, 정수형과 같이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형태이다. 불린 타입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할 때 사용 C : X C++ : bool Java : boolean 문자 타입 문자 한 개를 저장할 때 사용 char 문자열 타입 나열된 여러 개의 문자를 저장할 때 사용 C : char[] C++ : string Java : String 정수 타입 정숫값을 저장할 때 사용 int 부동 소수점 타입 소수점을 포함하는 실숫값을 저장할 때 사용 float, double 2. 변수 저장하려는 어떤 값을 주기억장치에 기억하기 위한 공간이다. static 변수(=정적변수)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변수를 초기화하고,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전까지 메모리가 유지되는 변수이다. 변수를 ..
아스키 코드
1. 아스키 코드란? 미국 ANSI에서 정보 교환용으로 표준화하였다. 영문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든 기호가 할당된 기본적인 부호체계이다. 10진수 부호 10진수 부호 0 NULL 67 C 32 ' '(Space) 68 D 48 0 97 a 49 1 98 b 65 A 99 c 66 B 100 d 부호 '0'의 10진수가 48, 부호 'A'의 10진수가 65, 부호 'a'의 10진수가 97인 것을 암기해두면 그다음 부호는 순서대로 진행되기 때문에 편리할 것이다. 2. 아스키 코드 예시 #include void main(){ char a; a = 'A' + 3; printf("%d %c", a, a); } 68 D 부호 'A'의 10진수 값은 65이다. 65에 3을 더하면 68이 되므로 a에 68이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