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선교환(Circuit Switching)방식이란?
- 회선교환방식은 회선 독점을 통한 통신방식이다.
- 회선교환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전용선 할당"인데, 예를 들어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고 하면, 전송을 위한 전용선을 할당하고 해당 선로로 모든 데이터를 전송한다.
- 즉, 송수신을 연결하는 전용선을 설정하고 전송을 하는 게 핵심이다.
회선교환의 특징은?
- 회선교환은 통신 회선을 설정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 회선교환방식은 음성 전화 시스템에 사용된다.
- 송신자의 모든 데이터는 동일한 경로로 전송된다.
-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 통신중 중간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연결이 끊어진다. (새로운 경로를 통한 새로운 회선 할당이 필요하다.)
장점 | - 대용량과 고속 데이터 처리에 우수하다. - 고정적인 대역폭을 사용한다. - 연속적인 데이터 처리에 우수 |
단점 | - 회선 이용 효율이 떨어진다. (대역폭을 낭비) - 통신 과정에서 회선 문제시 회선 할당부터 다시 해야 한다. - 통신 비용이 고가이다. |
패킷교환(Packet Switching)방식이란?
- 패킷교환은 회선교환과 다르게 전용선의 개념이 없다.
- 패킷교환은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단위로 나눠 네트워크망으로 뿌려준다.
- 이때 패킷에는 해당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의 몇 번째 데이터인지와 최종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다.
- 이 정보를 라우터가 보고, 패킷을 최적 경로를 향해 전달한다.
- 최적경로는 거리, 망의 혼잡도(대역폭 사용률), 연결상태, 기타 설정 등에 따라 그때 그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가 100개의 패킷으로 분해되어 전송되면, 100개의 패킷들은 라우터에 의해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목적지에 100개의 패킷이 전달되면 패킷의 순서 정보를 통해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합쳐지는 방식이다.
패킷교환의 특징은?
전송되는 패킷은 여러 경로를 이용할 수 있다. (패킷별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송신 패킷의 순서와 수신 패킷의 순서가 다를 수 있다.
전송 속도 및 흐름 제어가 가능하다.
패킷 정보를 통해 에러 탐지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인터넷 망에서 사용된다.
장점 | - 회선 이용률이 높다. - 에러 및 장애에 강하다. - 라우터 고장시 다른 경로를 즉각적으로 이용한다. - 에러에 대해 특정 패킷만 재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 인터넷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ex) 전화) |
단점 | - 경로 탐색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한다. - 전송량 증가에 따라 지연율이 급격하게 상승한다. - 패킷 헤더 추가로 인한 오버헤드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
출처:
'~2023.02 > 1일 1CS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의 정의와 필요한 이유, 역할은 무엇인가? (0) | 2022.07.31 |
---|---|
커널(kernel)의 종류는? (0) | 2022.07.26 |
Inner JOIN, Outer JOIN의 차이점은? (0) | 2022.07.24 |
DNS 서버 구성방식 중 하나인 DNS Round Robin이란? (0) | 2022.07.21 |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 제약조건의 정의와 필요성은? (0)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