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무결성 제약조건?
- 데이터 무결성을 지키기 위한 제약조건
- 데이터들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위해 지켜야하는 규칙
데이터 무결성?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지키는 것
-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일관성을 지켜야하고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가 있으면 안된다.
무결성 제약조건의 종류?
도메인 무결성 제약조건 - 도메인 제약
- 릴레이션 내 튜플들이 각 속성의 도메인에 지정된 값만을 가져야 한다는 조건
- 속성에 들어갈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지정할 수 있고, 기본값을 지정할 수 있다.
- 또한 저장되는 값들의 범위도 지정할 수 있으며 NULL 구문을 통해 속성 값으로 NULL을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 기본키 제약
- 릴레이션은 기본키를 지정하고 그에 따른 무결성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조건
- 기본키는 NULL 값을 가져서는 안되며, 릴레이션 내에 오직 하나의 값만 존재해야 한다.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 외래키 제약
- 테이블 간의 참조 관계를 선언하는 제약조건
- 외래 키의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 한다.
무결성 제약조건의 장점
- 스키마 작성시 일관성 조건을 한 번만 명시하면,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때마다 DBMS가 자동으로 일관성 조건을 검사하므로 애플리케이션들은 일관성 조건을 일일이 검사할 필요가 없다.
- 예를 들어 제약조건으로 데이터의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고 정의하면, DBMS가 자동으로 이 조건을 검사해주므로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 조건에 대한 비교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 데이터를 실생활의 의미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 사람의 몸무게는 0보다 커야 한다 등
-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접 조건을 유지하는 경우보다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낮다.
'~2023.02 > 1일 1CS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ner JOIN, Outer JOIN의 차이점은? (0) | 2022.07.24 |
---|---|
DNS 서버 구성방식 중 하나인 DNS Round Robin이란? (0) | 2022.07.21 |
(작성중)트랜잭션의 각 격리 수준과, 각 수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일까? (0) | 2022.07.18 |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는 무엇일까? (0) | 2022.07.18 |
DNS와 DHCP란? (0) |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