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와 DHCP는 모두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에서 작동하지만 서로 다른 용어이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하지만,
DHCP는 정적 또는 동적으로 네트워크의 호스트에 IP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 또한 호스트에 DNS 서버를 설정할 때에도 사용된다.
DNS의 정의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상의 호스트 이름과 고유한 숫자 주소(논리적 주소)를 매핑하는 디렉토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이다.
DHCP의 정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스트에 정적 및 동적 주소 할당을 부여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컴퓨터의 IP 주소 및 서브넷 마스크, 라우터의 IP 주소 및 이름 서버의 IP 주소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주요 차이점
비교 | DNS | DHCP |
정의 | 주소 해석 메커니즘 | IP를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호스트에 정적 또는 동적으로 할당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
특징 | 기호 이름을 IP 주소로, IP 주소를 기호 이름으로 덮어 쓴다. 활성 디렉토리 도메인 서버를 찾는 데 사용된다. |
호스트, 라우터 및 이름 서버의 IP 주소 및 컴퓨터의 서브넷 마스크와 같은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특정 임대 시간 동안 호스트에 IP를 할당한다. |
사용된 포트 번호 | 53 | 67 혹은 68 |
관련 프로토콜 | UDP 및 TCP | UDP |
서버 |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로 변환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DHCP 서버는 호스트를 자동으로 구성한다. |
작업 방법론 | 분산 | 중앙 집중화 |
장점 | IP 주소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 대신 도메인 이름이 웹 주소로 사용된다. |
안정적인 IP주소 구성 및 감소된 네트워크 관리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PC에 자동으로 서버 주소,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즉, 우리가 컴퓨터를 켜면 나타나는 IP 주소는 보통 동적 IP로써 이러한 IP를 DHCP에서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DHCP Discover
- PC에서 DHCP 서버가 있는지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해 DHCP Discover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DHCP Offer
- DHCP에서 PC에게 줄 수 있는 IP 주소 리스트를 제공해준다.
DHCP Requset
- 리스트중 IP 하나를 선택해 제공을 요청한다.
DHCP Ack
- IP 및 네트워크 정보를 할당해주고 임대 기간을 알려준다.
Internet Access
-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진다.
장점 |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
단점 |
현재 PC가 DHCP 서버에 의존하여 IP 주소를 할당받으므로 DHCP 서버가 다운되면 IP를 받지 못하여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
DNS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xxx.xxx.xxx.xx 같은 IP 주소를 www.helloworld.com 처럼 변환 혹은 역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DNS를 운영하는 서버를 네임서버(Name Server)라고 한다.
출처:
'~2023.02 > 1일 1CS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성중)트랜잭션의 각 격리 수준과, 각 수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일까? (0) | 2022.07.18 |
---|---|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는 무엇일까? (0) | 2022.07.18 |
동기와 비동기, 블로킹과 논-블로킹이란? (0) | 2022.07.15 |
대표적인 SQL의 종류 3가지와 종류별 명령어는? (0) | 2022.07.14 |
http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