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도 모르게 시작된 인터넷 혁명, Web 3.0
- Web 3.0 : 개인화, 지능화된 웹
- 우리가 알고 있던 Web 1.0과 Web 2.0의 다음 단계로 개방성, 탈 중앙화적, 개인 중심적 특성이 있음
- Web 1.0 = 읽기의 시대
- Web 2.0 = 누구든 쉽게 정보를 공유하고 검색 가능
- Web 3.0 = 읽기, 쓰기 뿐만 아니라 기여도에 따라 소득 취득과 소유 가능
- 즉, 그동안 수익 창출 과정에 어려움이 많았던 아티스트에게도 굉장한 기회가 될 수 있는 것!
- 인류 역사를 나눠 구분하느 것도 아직 최종 합의가 되지 않았는데, 인터넷 시대는 구분이 가능할까?
- 최근 '웹 3.0'이라는 3세대 인터넷 시대의 개막이 멀지 않았다며, 전 세계가 뜨겁게 주목
- 일론 머스크(테슬라 CEO) : "웹 3.0이라는 게 존재하는지 알 수 조차 없다!"며 의문 제기
- 블록체인 업계 : "실체가 존재한다!"고 맞섬
- 과연......?
- '웹 1.0' 시대 = '읽기'의 시대
- 인터넷은 그저 군사용으로 개발되었던 네트워크 기술일 뿐이었음
- 그 기술 위에 HTML로 웹을 보여주는 '넷스케이프(Netscape) Communicator'와 같은 브라우저가 등장
- 야후와 같은 업체들이 접속 주소를 등록 받아 관리해 주었음
- 즉, 누구든 정보를 올릴 수 있고, 그 지식을 읽음으로서 습득할 수 있는 '정보화 시대' 시작
- '웹 2.0' 시대 = '읽고-쓰고-출판하는' 시대
- 참여, 개발, 공유의 가치를 적용시켜, 인터넷을 한 단계 발전시킨 시대
- 구글,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안드로이드까지 누구든 쉽게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할 수 있음
- 웹 2.0은 '폐쇄된 플랫폼' 시대?
- 웹 1.0과 웹 2.0은 특정한 서비스 플랫폼에 엄청난 돈을 벌어다 주었음
- 웹 1.0 시대에는 야후를 통하지 않으면, 필요한 웹페이지 주소를 알 방법이 없었고.
- 야후 페이지 메인 광고는 엄청나게 비싼 가격에 팔렸음
- 즉, 공유는 손쉽지만 불필요한 정보는 넘쳐나고, 그 이익은 전부 내 것이 아닌 시대가 온 것
- 자유와 평등을 가져오는 인터넷이라고 했지만, 오히려 정보와 부의 불평등을 가져온 것이 웹 2.0시대가 됨
- 그래서 일부에서는 웹 2.0 시대는 '폐쇄된 플랫폼'시대라고 이야기 함
- '웹 3.0' 시대 = ???
- 특정 플랫폼에 귀속되어 정보가 저장되지도 않으며, 정보 소유권도 해당 서비스가 아니라 개인에게 귀속되는 시대가 될 것이라 예측
- 일명 오픈 스탠더드, 민주화된 인터넷 시대가 온다
- 블록체인 기술로 분산처리되는 데이터 암호화, NFT 등 이용해서 모든 정보는 원주인에게 정당한 대가가 지불 받게 됨
- 중앙 서버가 아니라 분산된 환경에서 모든 게 처리되기 때문에, 해킹과 데이터가 사라질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시대
- 엄밀히 말하면 아직 '웹 3.0'은 실체도 알 수 없고, 정해진 것도 아님
- 웹 3.0 시대 주인공들이 Google이나 Facebook 만큼 성장하고 나서야 '웹 3.0' 시대를 정의할 수 있을 것
웹 1.0 | 웹 2.0 | 웹 3.0 | |
소통방식 | 읽기만 가능 | 읽기, 쓰기 | 읽기, 쓰기 소유 |
매체 | 고정된 텍스트 | 상호 콘텐츠 | 가상경제 |
운영주체 | 기업 | 플랫폼 | 네트워크 |
인프라 | 개인 컴퓨터 | 클라우드, 모바일 | 블록체인 클라우드 |
운영권한 | 탈중앙화 | 중앙화 | 탈중앙화 |
2) 내가 만든 콘텐츠로 내가 돈을 버는 시대
- 지금까지는 콘텐츠로 벌어들이는 수익의 대부분을 제작자가 아닌 업체가 가져갔음
- 그러나 웹 3.0에선 블록체인 기술로 분산처리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NFT 등을 이용해서 모든 정보는 원래 주인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불 받게 될 것
-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오디우스(Audius)'
- 아티스트가 플랫폼에 대한 별도의 로열티 없이 스트리밍을 제공해서 직접 수익 올릴 수 있음
- 서비스 이용자들이 AUDIO 토큰을 투자하면서 플랫폼 운영 비용을 충당
- 저작 글쓰기 플랫폼 '미러(Mirror)'
- 브런치(Brunch)와 미디엄(Medium) 같은 글쓰기를 지원하지만, 본인이 쓴 글을 이더리움 기반의 NFT로 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름
- 쓴 글에 대해 이더리움으로 후원이나 펀딩을 받을 수도
-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오디우스(Audius)'
출처 : 맛있는 IT 뉴스레터, Yumm-IT
'~2023.02 > IT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0) | 2022.02.26 |
---|---|
클라우드(Cloud) 서비스란? (0) | 2022.02.21 |
RPA(업무 자동화)란? (0) | 2022.02.14 |
블록체인이란? (0) | 2022.02.12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