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oniiverse
개발 블로그
yooniivers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운영체제
    • 네트워크
    • ~2023.02
      • 외부교육
      • 대외활동
      • 스터디
      • 동아리
      • TIL
      • IT지식
      • 기타
      • 트러블 슈팅
      • 프로그래밍
      • Python
      • Java
      • JS
      • DB(SQL)
      • JSP
      • Spring
      • 기술면접
      • 자바
      • 코딩테스트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백준 문제풀이
      • 인공지능
      • 머신러닝
      • 프로젝트
      • 안드로이드 앱개발
      • 웹개발
      • 웹 서비스
      • 웹퍼블리싱
      • Node.js 백엔드 개발
      • CS
      • 1일 1CS지식
      • 운영체제
      • 네트워크
      • 데이터베이스
      • 정보처리기사
      • 도서 리뷰
      • 개발 관련 도서
      • 기타 도서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yooniiverse

개발 블로그

~2023.02/알고리즘

탐욕 알고리즘(그리디)

2022. 2. 23. 20:32

그리디


  • 최적의 해에 가까운 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됨
  • 여러 경우 중 하나를 결정해야할 때마다, 매순간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경우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해서, 최종적인 값을 구하는 방식

 

1. 동전 문제


coin_list = [500, 100, 50, 1]

def min_coin_count(value, coin_list):
    total_coin_count = 0
    details = list()
    coin_list.sort(reverse = True)
    for coin in coin_list:
        coin_num = value // coin
        total_coin_count += coin_num
        value -= coin_num * coin
        details.append([coin, coin_num])
    return total_coin_count, details

print(min_coin_count(4720, coin_list))

 

2. 부분 배낭 문제


data_list = [(10, 10), (15, 12), (20, 10), (25, 8), (30, 5)]

def get_max_value(data_list, capacity):
    data_list = sorted(data_list, key=lambda x: x[1]/ x[0], reverse=True)
    total_value = 0
    details = list()

    for data in data_list:
        if capacity - data[0] >= 0:
            capacity = capacity - data[0]
            total_value = total_value + data[1]
            details.append([data[0], data[1], 1])
        else:
            fraction = capacity / data[0]
            total_value = total_value + (data[1] * fraction)
            details.append([data[0], data[1], fraction])
            break
    return total_value, details

print(get_max_value(data_list, 30))

 

3. 실전 코딩 테스트 - 모아서 풀어보면 일정한 패턴이 보인다!


** 리스트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정렬하는 패턴


[백준 => ATM]

1)

N = 5
N_list = [3, 1, 4, 3, 2]
minimum = 0

# 지금 받은 리스트에서 가장 최적인 것(최소인 시간)을 고르려면? => 순서대로 정렬 필요
N_list.sort()

for index in range(N):
    for index2 in range(index + 1):
        minimum = minimum + N_list[index2]
print(minimum)

2)

N = int(input())
N_list = list(map(int, input().split()))
min = 0

N_list.sort()

for index in range(N):
    for index2 in range(index + 1):
        min += N_list[index2]
print(min)

'~2023.02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색 알고리즘 #3] 코딩 테스트 연습문제 풀이  (0) 2022.02.25
[탐색 알고리즘 #2]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  (0) 2022.02.25
[탐색 알고리즘 #1] 이진 탐색(Binary Search)  (0) 2022.02.25
동적 계획법과 분할 정복  (0) 2022.02.23
그래프 기본 탐색 알고리즘_너비 우선 탐색(BFS)  (0) 2022.01.15
    '~2023.02/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탐색 알고리즘 #2]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
    • [탐색 알고리즘 #1] 이진 탐색(Binary Search)
    • 동적 계획법과 분할 정복
    • 그래프 기본 탐색 알고리즘_너비 우선 탐색(BFS)
    yooniiverse
    yooniiverse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