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oniiverse
개발 블로그
yooniivers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운영체제
    • 네트워크
    • ~2023.02
      • 외부교육
      • 대외활동
      • 스터디
      • 동아리
      • TIL
      • IT지식
      • 기타
      • 트러블 슈팅
      • 프로그래밍
      • Python
      • Java
      • JS
      • DB(SQL)
      • JSP
      • Spring
      • 기술면접
      • 자바
      • 코딩테스트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백준 문제풀이
      • 인공지능
      • 머신러닝
      • 프로젝트
      • 안드로이드 앱개발
      • 웹개발
      • 웹 서비스
      • 웹퍼블리싱
      • Node.js 백엔드 개발
      • CS
      • 1일 1CS지식
      • 운영체제
      • 네트워크
      • 데이터베이스
      • 정보처리기사
      • 도서 리뷰
      • 개발 관련 도서
      • 기타 도서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yooniiverse

개발 블로그

~2023.02/1일 1CS지식

데이터베이스에서 savepoint와 truncate이란?

2022. 8. 2. 14:20

롤백이란?

  • 변경된 데이터를 테이블에 영구적으로 저장하기위해 commit을 해줘야 하는데, 이 commit 작업 전에 실행되어 변경 사항을 취소하는 것

 

savepoint

  • 롤백 시 트랜잭션에 포함된 전체 작업을 롤백하는 것이 아니라 현 시점에서 savepoint까지 트랜잭션의 일부만 롤백할 수 있음
  • 따라서 복잡한 대규모 트랜잭션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 savepoint까지의 트랜잭션만 롤백하고 실패한 부분에 대해서만 다시 실행할 수 있게 됨

 

truncate

  • 테이블의 데이터를 전부 삭제하고 사용하고 있던 공간을 반납하는 것
  •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지만 테이블 자체가 지워지지는 않음
  • 이때 해당 테이블에 생성되어 있던 인덱스도 함께 truncate 된다.

delete

데이터만 지워지고 사용하던 디스크 상의 공간은 유지 됨
원하는 데이터만 삭제할 수 있음

truncate

데이터와 인덱스가 모두 삭제 됨, 컬럼 값은 유지
특정 데이터만 삭제하는 것이 불가능 함

 

출처::

https://velog.io/@thdgorhkd97/DB%EC%9D%98-savepoint-truncate

https://velog.io/@alsjeong/DB-SAVEPOINT-TRUNCATE

'~2023.02 > 1일 1CS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는?  (0) 2022.08.07
RAM과 ROM의 차이는?  (0) 2022.08.05
운영체제의 정의와 필요한 이유, 역할은 무엇인가?  (0) 2022.07.31
커널(kernel)의 종류는?  (0) 2022.07.26
회선교환방식과 패킷교환방식의 차이는?  (0) 2022.07.25
    '~2023.02/1일 1CS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는?
    • RAM과 ROM의 차이는?
    • 운영체제의 정의와 필요한 이유, 역할은 무엇인가?
    • 커널(kernel)의 종류는?
    yooniiverse
    yooniiverse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