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의 자료형(= 프로그래밍의 자료형)
- 정수(Integer)
- 소수(Floating Point)
- 문자열(String)
- 불린(Boolean)
실습과제: 칼로리 계산기
변수를 배웠으니 한 번 사용해 봅시다. 총 다섯 가지 과자가 있습니다.
- kitkat: 190 칼로리
- oreos: 502 칼로리
- pringles: 292 칼로리
- twix: 135.9 칼로리
- cheetos: 485 칼로리
과자를 다양하게 조합해서 먹었을 때 총 몇 칼로리인지 계산해 보려고 하는데요. 각 과자의 이름을 변수 이름으로 사용하여, 해당 과자의 칼로리를 저장해 주세요.
변수를 사용하는 코드는 이미 작성되어 있으니, 여러분은 변수를 정의만 하면 됩니다. 변수를 제대로 정의하시면 콘솔에는 이렇게 출력이 됩니다.
1194
1940
929.9
1880
# 여기에 코드를 작성하세요.
kitkat = 190
oreos = 502
pringles = 292
twix = 135.9
cheetos = 485
# 다양한 과자 조합
print(kitkat + oreos * 2)
print(cheetos * 4)
print(pringles + oreos + twix)
print(pringles * 3 + oreos * 2)
함수
def hello():
print("Hello!")
print("Welcome to Codeit!")
hello()
Hello!
Welcome to Codeit!
실습과제: 카페 모카 레시피
동욱이는 얼마 전 카페 알바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아직 초짜이다 보니 실수가 잦네요. 실수를 좀 줄이기 위해, 카페 모카의 레시피를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아래의 레시피를 한 줄씩 그대로 출력하도록 함수 cafe_mocha_recipe를 작성하세요.
카페 모카 레시피
1. 준비된 컵에 초코 소스를 넣는다.
2.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잔에 부어 준다.
3. 초코 소스와 커피를 잘 섞어 준다.
4. 거품기로 우유 거품을 내고, 잔에 부어 준다.
5. 생크림을 얹어 준다.
출력 예시
1. 준비된 컵에 초코 소스를 넣는다.
2.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잔에 부어 준다.
3. 초코 소스와 커피를 잘 섞어 준다.
4. 거품기로 우유 거품을 내고, 잔에 부어 준다.
5. 생크림을 얹어 준다.
1. 준비된 컵에 초코 소스를 넣는다.
2.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잔에 부어 준다.
3. 초코 소스와 커피를 잘 섞어 준다.
4. 거품기로 우유 거품을 내고, 잔에 부어 준다.
5. 생크림을 얹어 준다.
# 코드를 작성하세요.
def cafe_mocha_recipe():
print("1. 준비된 컵에 초코 소스를 넣는다.")
print("2.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잔에 부어 준다.")
print("3. 초코 소스와 커피를 잘 섞어 준다.")
print("4. 거품기로 우유 거품을 내고, 잔에 부어 준다.")
print("5. 생크림을 얹어 준다.")
# 테스트 코드
cafe_mocha_recipe()
cafe_mocha_recipe()
파라미터
def hello(name):
print("Hello!")
print(name)
print("Welcome to Codeit!")
hello("Chris")
여기서 name은 파라미터이다.
Hello!
Chris
Welcome to Codeit!
여러 개의 파라미터
def print_sum(a, b):
pirnt(a + b)
print_sum(7, 3)
10
만약 값 3개를 받고 싶다면? 파라미터를 하나 더 늘려주면 된다.
def print_sum(a, b, c):
print(a + b + c)
print_sum(7, 3, 2)
12
여기서 파라미터의 이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ex) a, b, c → num1, num2, num3
실습과제: 세 수의 곱
세 수의 곱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합니다.
파라미터로 정수 값 세 개를 받고, 세 수의 곱을 출력하는 함수 multiply_three_numbers를 만들어 보세요.
# 코드를 작성하세요.
def multiply_three_numbers(a, b, c):
print(a * b * c)
# 테스트 코드
multiply_three_numbers(7, 3, 5)
multiply_three_numbers(21, 4, 9)
multiply_three_numbers(-7, 6, 3)
return문
개념 복습
- 변수 : 값을 저장하는 것
- 함수 : 명령을 저장하는 것
- 파라미터 : 함수에 넘겨 주는 값
return : 돌려준다
def get_square(x):
return x * x
print(get_square(3))
이 함수는 파라미터 하나를 받는다. 파라미터의 이름은 x이고, 여기에 정수 값을 넘겨 주려고 한다.
3을 넘겨주면 get_square함수는 9를 return한다.
print(9)
또 다른 예시를 보자.
def get_square(x):
return x * x
y = get_square(3)
print(y)
y = 9
print(9)
def get_square(x):
return x * x
print(get_square(3) + get_square(4))
print(9 + 16)
'~2023.02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기초 in Python _ [토픽3]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in Python _ 사전 & 파이썬 데이터의 비밀 (0) | 2021.09.05 |
---|---|
프로그래밍 기초 in Python _ [토픽3]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in Python _ 리스트 & for 반복문 (0) | 2021.09.04 |
프로그래밍 기초 in Python _ [토픽2] 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Python _ 제어문 (0) | 2021.09.03 |
프로그래밍 기초 in Python _ [토픽2] 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Python _ 추상화 (0) | 2021.09.03 |
프로그래밍 기초 in Python _ [토픽2] 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Python _ 자료형 (0) | 2021.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