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브라우저가 DNS 서버로부터 얻은 주소를 가지고 웹 서버에게 JSP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서버가 서블릿 컨테이너를 통해 동적으로 처리된 결과를 HTML 페이지로 응답한다.
DNS란?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ex) www.amazon.com)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ex) 192.0.2.44)로 변환한다.
DNS 서버란?
DNS 서버는 공용 IP 주소 및 관련 호스트 이름의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된 컴퓨터 서버이며, 대부분의 경우 해당 일반 이름을 요청된대로 IP 주소로 확인하거나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서블릿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서블릿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브로그래밍 기술이다. 특히 서블릿은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만으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서블릿 컨테이너란?
서블릿을 담고 관리해주는 컨테이너이다.
서블릿 컨테이너의 역할?
1) JSP 코드를 서블릿 코드로 변환
- JSP 코드(.jsp)는 서블릿 형태의 자바 소스(.java)로 변환되고, 변환된 자바 소스는 컴파일 되어 바이트 코드(.class)로 변환된다. (JSP 코드에 최초 접근시에만 컴파일 함)
2) 서블릿을 실행
- 이후 JSP 코드는 서블릿 객체로 관리되다가 클라이언트 요청시 변환된 바이트 코드가 실행된다.
'~2023.02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세션과 쿠키 (0) | 2022.06.13 |
---|---|
[JSP]JSP의 두 가지 문법 형태 (0) | 2022.06.13 |
[JSP]JSP&Servlet 이해 (0) | 2022.06.13 |
JSP 페이지의 구성요소 (0) | 2022.06.04 |